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의 관계 .....만든사람은?

by FixedSeat 2023. 7. 31.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의 관계

 

이더리움(Ethereum)과 이더리움클래식(Ethereum Classic)은 둘 다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한 분산형 플랫폼으로,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의 분기 버전입니다. 2015년 7월에 출시된 이더리움은 분산된 계약인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기반으로 탈중앙화된 애플리케이션(DApp)을 구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더리움은 Solidity라는 스마트 계약 언어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며, 암호화폐 이더(Ether)를 사용하여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그러나, 이더리움의 발전 과정에서 2016년에 DAO(Distributed Autonomous Organization)라는 스마트 계약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보안 취약점으로 인해 약 3.6백만 개의 이더(Ether)가 탈취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이더리움 개발자들은 하드포크(Hard Fork)를 통해 블록체인을 수정하여 훔친 이더를 돌려받았습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들은 이더리움의 탈중앙화와 불변성 원칙에 반하는 이 하드포크를 받아들이지 않았고, 이더리움의 이전 블록체인 버전을 따라갔습니다. 이로 인해 이더리움과 이더리움클래식 두 개의 블록체인이 만들어졌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이후도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기술적으로는 이더리움과 유사하지만 개념적으로는 이더리움과 다른 방향을 따르고 있습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의 지지자들은 블록체인의 불변성과 탈중앙화 원칙을 강조하며 이더리움의 하드포크를 받아들이지 않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창시자

 

이더리움은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이라는 프로그래머와 암호화폐 연구자에 의해 2013년에 논문으로 처음으로 제안되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러시아에서 태어나 유격으로 살면서 자연어 처리와 프로그래밍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2011년에 비트코인에 대해 알게 되고, 블록체인 기술과 분산형 컴퓨팅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 후 2013년에 이더리움 아이디어를 고안하고, 이후 2014년에 이더리움 논문을 발행했습니다. 논문은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플랫폼인 이더리움의 기본 아이디어와 구조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논문과 함께 비탈릭 부테린은 다양한 개발자들과 학자들과 협업하여 이더리움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고 테스트했습니다.

 

2015년 7월 30일, 이더리움은 최초의 블록을 채굴하여 공식적으로 론칭되었습니다. 비탈릭 부테린은 이더리움의 창시자이자 주요 개발자로서, 현재까지도 이더리움 생태계의 발전과 발전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블록체인 기술과 스마트 계약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기술자로 손꼽힙니다.